2024 재산세 납부 조회 방법 기간 계산기 부과기준 카드 혜택

매년 7월 중순이 다가오면 납부하는게 필요한 세금이 있는데요. 부동산 소유자에게 매년 부과되는 세금인 재산세 입니다. 공공서비스와 기반 시설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재원으로 사용되며 부동산 소유에 따른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재산세 납부 기간을 엄수하지 않으면 가산세를 낼 수 있으니 기간 내에 납부하시길 바랍니다.

재산세 납부 조회 방법

재산세 납부 기간은 1차, 2차, 건축물 및 토지분 재산세 총 3개 분류로 나뉩니다.

  • 1차 납부 기간은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이며,
  • 2차 납부 및 건축물, 토지분 납부 기간은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입니다. 단, 세액이 20만원 이하인 경우 7월에 한번에 납부가 가능합니다.

※ 기한내에 납부하지 못하면 3%의 가산세를 납부하니 기간을 엄수하는게 중요합니다.

재산세 납부 방법

은행 방문, 인터넷 뱅킹 이용, 지방세 포털 사이트 이용 등이 있습니다.

  • 은행 방문 할 경우 고지서를 지참
  • 온라인으로 납부 하실 분들은 위택스 홈페이지 (https://www.wetax.go.kr/) 를 통해 간편하게 납부가 가능합니다.
  •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 후 나의 위택스에서 납부 할 재산세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재산세 카드 혜택]

​재산세 계산기

재산세 계산은 과세표준과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합니다.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하면 계산 할 수 있습니다.

  1. 공시가격 확인
    재산세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공시하는 부동산 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주택의 경우 공동주택가격(아파트 등)이나 단독주택가격을 사용합니다. 토지의 경우 표준지공시지가를 사용합니다.
  2. 과세표준 계산
    과세표준은 공시가격에 일정한 비율을 적용하여 산출합니다.
    일반적으로 주택은 공시가격의 60~70%를 과세표준으로 사용합니다.
  3. 세율 적용
    제산세율은 과세표준액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주택, 건축물, 토지의 세율은 각각 다르게 적용됩니다.
  • 주택의 경우, 과세표준액에 따라 차등 세율이 적용됩니다. 주택의 경우 0.1%에서 0.4%까지 세율이 부과됩니다.
  • 건축물은 0.25%에서 0.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 토지는 0.2%에서 0.5%의 세율이 적용되며 토지의 용도에 따라 세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위와 같은 과정이 복잡 할 경우 재산세 계산기를 이용하면 편하게 재산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재산세 부과기준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보유하고 있는 토지, 건물 등에 대해 부과하며 주택 뿐만 아니라 선박 항공기에도 세금 부과 합니다.

  • 주택은 주거용 건물과 그 부속 토지를 포함합니다.
  • 건축물은 상업용 건물, 공장, 창고 등 비거주용 건물을 말합니다.
  • 토지는 건축물이 없는 토지, 농지, 임야 등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부동산 소유자는 매년 재산세 납부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