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수요 급증하면서 OTT 서비스가 기존(케이블, TV, 위성) 방송 보다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해진 서비스 때문에 선택의 폭은 넓어졌지만, 내가 원하는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지 또 한 요즘 인기 순위는 어떠한지 등 궁금증이 많아집니다.
그래서, 오늘은 OTT서비스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각각 플랫폼 순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TT 서비스 뜻
OTT 서비스 뜻은 “Over-The-Top” 으로
- 약자로 주로 인터넷망을 통해서 제공되는 미디어 서비스를 나타냅니다.
- 기존 미디어 서비스는 케이블 TV와 같이 네트워크(망)을 이용해서 서비스를 제공했다면
- OTT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예로 들면 : Netflix, Amazon Prime Video, Disney+ Tving Wavve , Apple TV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시청자가 필요한 콘텐츠를 직접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OTT 플랫폼 순위
다양한 플랫폼 중 요즘 인기 순위는 어떠한지 비교 데이터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1) 넷플릭스
역시 일위는 넷플릭스가 차지하였는데요. 저도 OTT 서비스를 이용하였을때 넷플릭스를 먼저 이용하였던것 같습니다. 넷플릭스는 미국에서 만든 OTT 서비스로 해외의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컨텐츠를 볼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유명 드라마, 영화 등도 다양하게 볼수 있는데요. 점유율은 38.2% 매우 압도적이니 여러분들께서도 이용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2) 티빙
2위는 티빙이 차지하였는데요. 티빙은 CJ의 계열 플랫폼으로 CJ ENM 과 JTBC 방송 등을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점유율은 18%가 넘는데요. 그렇기에 여러분들이 보고 싶었던 예능들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3) 웨이브
3위는 웨이브가 차지를 하였는데요. 저 같은경우에는 웨이브를 아직까지는 구독을 한적이 없습니다. 그렇기에 매우 궁금한 OTT 인것 같은데요. 웨이브는 지상파 3사의 MBC, SBS, KBS 와 더불어 SK텔레콘에서 합작하여 만든 플랫폼으로 지상파에 있는 예능, 드라마 등 다양하게 볼수 있으며 저는 예전에 무한도전 이나 거침없이 하이킥 등을 재밌게 보았기 때문에 만약 웨이브를 시청하게 된다면 제가 보고 싶었던 것들을 마음껏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4) 쿠팡플레이
4위는 쿠팡플레이가 점유율 11.8% 로 차지를 하였는데요. 쿠팡 플레이 역시 제가 좋아하는 OTT 중에 하나입니다. 쿠팡플레이는 바로바로 SNL을 볼수 있기 때문이죠?
5) 디즈니 플러스
5위는 디즈니 플러스가 점유율 6%로 차지를 하였는데요. 지금은 더 오르고 있다고 합니다. 디즈니 플러스가 인기가 ㅁ낳은 이유는 다들 알다시피 마블 및 디즈니 영화가 가득하기 때문일꺼라 생각하는데요.
요즘 OTT 서비스가 4~5개 구성으로 반가격에 싸게 나온것들이 많습니다. 가성비가 좋으니 이를 이용해보시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것 같습니다.